로고

23년 2분기 빅테크 3사 후불결제 서비스(BNPL) 연체율 6% 육박... 관리 필요성 높아져


- 23년 6월 기준 비바리퍼블리카 연체율 7.76%, 전년 동월(0.06%) 대비 130배 증가

- 총 채권은 줄어드는데 연체 채권은 증가.... 건전성 관리방안 논의 시작해야

조용식 기자 | 기사입력 2023/08/14 [19:39]

23년 2분기 빅테크 3사 후불결제 서비스(BNPL) 연체율 6% 육박... 관리 필요성 높아져


- 23년 6월 기준 비바리퍼블리카 연체율 7.76%, 전년 동월(0.06%) 대비 130배 증가

- 총 채권은 줄어드는데 연체 채권은 증가.... 건전성 관리방안 논의 시작해야

조용식 기자 | 입력 : 2023/08/14 [19:39]


[한국상인뉴스=조용식 기자]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가계부채와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혁신금융을 표방하며 시작된 후불결제 서비스(BNPL·Buy Now Pay Later)의 연체율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의원이 13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3사의 6월 말 기준 BNPL 연체율은 각각 2.45%, 0.54%, 7.76%로, 평균 5.8%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1분기인 3월 말 기준 각각 연체율이 2.7%, 0.51%, 5%로 평균 4.4%였던 것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0.25% 증가, 0.03% 감소, 2.26% 증가했으며, 평균은 1.2%가 증가한 것이다. 

 

선구매후불결제(BNPL) 서비스는 물품을 구매하는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는 물품을 받은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업체에 상환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이다.

 

미리 구매하고 할부로 대금을 상환한다는 점에서 신용카드와 유사하지만, BNPL은 신용이력이 적어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학생, 주부, 사회초년생 등 씬파일러들도 이용할 수 있어 해외에서는 이미 주요 결제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혁신금융서비스 중 하나로 도입이 되었으며, 네이버의 경우 21년 4월부터, 카카오는 22년 1월부터, 토스의 경우 22년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서비스 개시 1년 여 만에 누적가입자 총계가 300만명에 이를 정도로 사용자 숫자가 빠르게 늘어났다.

 

최승재 의원실에 따르면 23년 6월 말 기준 빅테크 3사의 BNPL 서비스 누적 가입자 숫자는 각각 74.3만, 4.5만, 223.2만명으로, 총 30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1분기인 지난 3월 말 71만, 3만, 192.2만명에 비하면 각각 4.7%, 47.5%, 16.1%, 총계로는 13.4%가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나란히 증가한 누적가입자 숫자와는 달리, 연체채권과 연체율에 있어서는 각 사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네이버 파이낸셜의 경우 1분기 말 기준 약 124억원 수준이던 총채권은 2분기 말 기준 약 122억으로 1.7%가 감소했지만, 연체채권은 3.4억에서 3억으로 11.8%나 감소하였으며, 연체율 또한 2.7%에서 2.5%로 0.2%포인트가 감소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3사 중 채권규모는 가장 작지만, 1.7억에서 2.4억으로 3개월 간 약 40%가 증가했다. 연체채권도 이와 함께 44%나 증가했지만, 금액 자체는 90만원에서 130만원 수준으로 소액에 불과했으며, 연체율 또한 0.5% 수준에 그쳤다.

 

앞선 2개 사와 달리 3사 중 가장 많은 가입자 수와 채권규모를 가진 토스(비바리퍼블리카)의 경우 3사 중 가장 높은 연체율과 증가폭을 보였다. 먼저 총채권의 경우 지난 3월 말 기준 320억원 수준에서 6월 말 기준 221억원으로 무려 30.8%나 감소했다. 반면 연체채권은 15.9억원에서 17.1억원으로 오히려 7.4%나 증가하였으며, 연체율 또한 5% 수준에서 7.76% 수준으로 크게 증가했다. 연체율이 계속 증가세를 보이자 채권을 회수하며 규모를 줄였지만, 연체채권은 회수하지 못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짧은 기간 안에 우려스러울 정도로 폭등한 연체율이다. 각 사별로 연체율 관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나, 1분기 4.4%이던 평균 연체율이 2분기 5.8% 상승하는 등 1년 간 악화일로를 걷는 만큼 국회에서는 BNPL 연체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BNPL의 취지 자체가 청년층과 주부 등 씬파일러, 금융거래이력부족자를 대상으로 한 포용금융이라 하더라도, 20대 이하의 은행 연체율이 급등하고, 소액생계비대출과 같은 정책상품에서도 20대 청년층의 이자 미납률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금융당국 또한 예의주시만 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최의원의 지적이다.

 

최승재 의원은 “혁신금융, 포용금융이라는 명목으로 빅테크 업체들에게 금융사업의 진출기회를 주었지만, 혁신금융사업에만 집중하기 보다 정보·데이터 수집을 통해 타 권역에서 수익을 보전하는 등 되려 시장을 교란한 측면이 있다”면서 “물론 씬파일러와 같은 중저신용자, 거래이력부족자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빠지지 않도록 여러 방책을 마련할 필요는 있지만, 급증하는 연체율을 방치하다가 루비콘 강을 건너는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빅테크 업체들의 각종 금융서비스를 재점검하고, 건전성 확보를 위한 논의를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